PROGRAM
홈
교육과정
비즈니스IT 전공
교과목명 | 국문 | 연구윤리와 박사논문연구 | 영문 | Research Ethics and Doctoral Dissertation Research |
교과 구분 | 전공필수(박사) | |||
개설 시기 | 매년 봄/가을학기 | |||
강의 목표 | 본 과목은 연구를 수행할 때 고려해야 할 연구윤리와 함께 이를 바탕으로 박사 학위논문 작성의 전 과정을 지도한다. 연구자로서 반드시 숙지해야 할 연구윤리 및 연구부정행위와 관련된 다양한 이슈들을 소개하고, 이어 학위논문 연구를 위한 자료수집부터 연구의 전체적인 구도 설정, 그리고 실제 논문 작성에 이르기까지 담당교수의 지도 하에 박사 학위논문의 전 과정이 본 과목을 통해 진행된다. | |||
주요 강의 내용 | ⦁ 연구윤리 개요 및 연구부정행위의 유형(위·변조, 표절, 부당한 저자표시, 부당한 중복게재, 부실학회 참석 등)과 예방 ⦁ 박사 학위논문 연구 수행을 위한 전 과정 지도 ⦁ 학위논문 작성을 위한 논리적 글쓰기 |
교과목명 | 국문 | Process관리세미나 | 영문 | Process Management Seminar |
교과 구분 | 전공선택(박사) | |||
개설 시기 | 짝수년 가을학기 | |||
강의 목표 | 비즈니스 프로세스 변화 및 관리 분야에 대한 세미나 | |||
주요 강의 내용 | 박사과정 학생을 대상으로 하는 세미나로서 비즈니스 프로세스 관리 분야의 다양한 리서치 프레임워크를 이해하고 관련 논문들을 읽는다. 특히 프로세스 변화가 조직에 미치는 영향 뿐만 아니라 프로세스 변화 방법론, 기법, 도구 등에 대해서도 학습한다. |
교과목명 | 국문 | 기초연구방법론 | 영문 | Research Methodology |
교과 구분 | 전공선택(석박사공통) | |||
개설 시기 | 매년 봄학기 | |||
강의 목표 | 연구 방법론에 대한 이해 및 통계적 기법의 응용력 배양 | |||
주요 강의 내용 | 대학원에서 연구를 수행하기 위해 기본적으로 이해하고 있어야 하는 여러 과학적 연구와 관련한 다양한 개념을 이해하고 특히, 경영정보학 분야의 주요 연구 방법론인 사례분석, 실험, 서베이 기반의 현장 연구 등에 관해 학습한다. 또한 자료 분석을 위해 필요한 다양한 통계적 분석 테크닉에 대해 배운다. |
교과목명 | 국문 | 프라이싱과 비즈니스 모델 | 영문 | Pricing & Business Model |
교과 구분 | 전공선택(석박사공통) | |||
개설 시기 | 매년 봄학기 | |||
강의 목표 | 현대 기업의 생존과 지속가능한 성장을 위한 수익창출 활동에서 프라이싱 전략의 중요성을 이해하고, 다양한 비즈니스 모델 안에서 프라이싱의 관계를 파악하며 가격 결정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가격 전략 유형, 고객 행동심리학 관점의 가격책정에 대해 이해하고 활용할 수 있도록 한다. | |||
주요 강의 내용 | - 프라이싱 전략 중요성과 비즈니스 모델과의 관계 - 프리이싱 결정 핵심 요인 3가지(Value, Cost, Competition) - 매출과 수익의 최적화, 프라이싱 최적화, 다이나믹 프라이싱 - 신제품·신규서비스 가격 책정과 핵심가치상품 가격운영 전략 - 다양한 프라이싱 성공사례, 실패사례 및 글로벌 프라이싱 트렌드 - Price Data 수집, 분석, AI 활용 – 프라이싱 전담조직과 전문가 역할 |
교과목명 | 국문 | 비즈니스 애널리틱스와 LLM (영어강의) | 영문 | Business Analytics and LLM |
교과 구분 | 전공선택(석박사공통) | |||
개설 시기 | 홀수년 가을학기 | |||
강의 목표 | 고급 데이터 분석 기법인 머신 러닝을 이용한 데이터 분석 방법을 학습한다. 기초 통계 이론 및 데이터 분석을 위해 기반 이론을 학습하고, 이에 기반한 실습을 진행한다. 모든 알고리즘을 습득하는 것이 목표가 아닌 현대적 알고리즘 습득을 목표로 하며, 특히 LLM 활용한 데이터 분석 방법을 함께 학습함으로 효율적인 모델링 및 모델 활용 방안을 살펴본다. 본 과목은 알고리즘에 대한 수학적 접근이 아닌 개념적 이해를 도모하는데 그 목표를 두며, 학문적, 실무적 관점의 강의, 토론, 연구를 병행한다. This lecture is designed to explore advanced data analytics methodologies. It encompasses fundamental statistics, a comprehensive theoretical overview of machine learning, and hands-on data analytics practice. Rather than covering every algorithm, the lecture will focus on modern and widely adopted algorithms in the industry. Students will leverage a Large Language Model (LLM) for their modeling processes, which will prove beneficial. Please note that this lecture will not emphasize the mathematical proofs of the models. Instead, it will prioritize conceptual understanding and the practical and academic exploration of the models. | |||
주요 강의 내용 | 1. Understanding of AI, Machine Learning, and related concepts, while reviewing current industrial trends in these technologies. 2. Acquire foundational knowledge in basic statistics, data structures, data preprocessing, and model evaluation methods. 3. Gain familiarity with traditional machine learning algorithms and practice key techniques such as Bagging, Boosting, and Neural Networks—note that deep learning is beyond the scope of this course. 4. Students will learn how to enable analytics by Generative AI. |
교과목명 | 국문 | 비즈니스IT 개론 (영어강의) | 영문 | Understanding IT for Enterprise Service Design |
교과 구분 | 전공선택(석박사공통) | |||
개설 시기 | 짝수년 봄학기 | |||
강의 목표 | This course provides a comprehensive understanding of IT service planning, building, and design. You will study essential IT concepts like SW/EA architecture, which is the fundamental theory. Based on the understanding of the architecture, this lecture deals with modern IT technologies or issues that are higher priorities in the field. You will conduct some exercises and have complementary reading assignments such as papers or cases to help your understanding of this subject. 본 강의에서는 IT 서비스 계획, 구축, 설계와 관련한 전반적인 지식을 습득하는데 그 목표가 있습니다. 이를 위해 IT 의 근간을 이루는 SW/EA architecture 에 대해 학습하고 이를 바탕으로, 현장에서 고려하는, 최신 IT 기술 및 관련된 여러 문제들을 다루게 됩니다. 아울러 전체적인 이해를 도모하기 위해 실습, 사례연구 및 세미나를 병행합니다. | |||
주요 강의 내용 | 1. Understanding Architecture 2. Cloud Computing and Multi-Cloud strategy 3. SW development methodologies (Agile vs. Waterfall) 4. IT service operation and DevOps 5. IT service disaster and recovery 6. Sustainable IT – Introducing Green IT/AI 7. Case Study and Seminar |
교과목명 | 국문 | 공급망관리와 물류 (영어강의) | 영문 | SCM and Logistics |
교과 구분 | 전공선택(석박사공통) | |||
개설 시기 | 짝수년 가을학기 | |||
강의 목표 | This course covers the design and management of supply chains, including procurement, production, distribution, and logistics. It emphasizes the role of information technology in optimizing supply chain operations and examines contemporary challenges and trends in the field. | |||
주요 강의 내용 | · Understand the components and functions of a supply chain. · Learn to use IT solutions for supply chain optimization. · Analyze case studies of efficient supply chain management. · Develop skills in logistics and transportation management. · Understand the impact of global trends on supply chain strategies. |
교과목명 | 국문 | 생성형AI 프롬프트 디자인 비즈니스 실무 | 영문 | Generative AI Prompt Design for Business: A Practical Approach |
교과 구분 | 전공선택(석박사공통) | |||
개설 시기 | 매년 봄학기 | |||
강의 목표 | 본 강의는 생성형 AI 프롬프트 디자인에 대한 체계적인 이해를 바탕으로, 보고서 작성·마케팅·통계 분석 등 다양한 비즈니스 분야에 AI를 적용하여 업무 효율화와 혁신 역량을 극대화할 수 있는 실무 지식과 기술을 제공한다. 또한, 창의적 문제 해결과 협업·소통 능력을 높이는 동시에 윤리적·법제적 책임을 고려한 AI 활용 가이드를 제시하여, 조직 전체가 AI 역량을 내재화하고 지속적인 혁신을 주도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 |||
주요 강의 내용 | [1부: 생성형 AI 효율적인 활용 방법] 1. 프롬프트 디자인과 확장 기술: 생성형 AI 프롬프트의 핵심 원칙과 설계 노하우, 마이GPTs·랭체인 등 최신 도구의 특징 및 활용 방안을 다룸 2. 개인·업무·리더십 통합 접근: 개인 역량 개발부터 업무 자동화, 조직 리더십 강화까지 생성형 AI를 다차원적으로 적용하는 전략을 제시 3. 윤리적 책임과 법적 고려: AI 활용 과정에서 발생할 수 있는 윤리적·법적 이슈를 분석하고, 책임감 있는 프롬프트 설계를 위한 가이드라인을 마련 [2부: 생성형 AI로 업무 자동화와 혁신] 1. 의사결정·보고서·마케팅 혁신: 경영정보 기반 의사결정, 자동 보고서 작성, 전사적 마케팅 개선 등 다양한 실무 사례와 적용 방법을 소개 2. 평가·통계·데이터 분석: AI를 활용한 평가·등급 부여, 통계 분석 프로세스 개선, 데이터 기반 인사이트 도출로 업무 효율성을 높이는 방안을 제시 3. 협업·법제도·교육훈련 고도화: AI를 활용한 팀 협업, 조직 규정 자동화, 교육훈련 효과 극대화 등 전사적 혁신 전략을 종합적으로 다룸 |
교과목명 | 국문 | 디지털제품기획과 비즈니스모델 | 영문 | Digital Product Planning and Business Models |
교과 구분 | 전공선택(석박사공통) | |||
개설 시기 | 매년 봄학기 | |||
강의 목표 | 다양한 디지털 제품과 비즈니스 모델 사례를 학습하며, 디지털 시대의 비즈니스 전략을 체계적으로 이해한다. 강의는 실질적인 사례 연구와 최신 트렌드를 기반으로 디지털 제품 기획과 비즈니스 모델 설계의 핵심 요소를 심도 있게 탐구한다. 이를 바탕으로 창의적이고 실행 가능한 디지털 제품 기획안과 비즈니스 모델을 설계해 보며, 이론적 지식과 실무적 역량을 고루 갖춘 미래형 비즈니스 리더로의 성장을 목표로 한다. | |||
주요 강의 내용 | 본 과목은 디지털 제품 기획과 비즈니스 모델의 사례를 바탕으로 창의적 아이디어를 설계하고 발전시키는 참여형 세미나 수업이다. 수업은 다음과 같은 주요 내용을 중심으로 진행된다: 1. 디지털 제품 기획과 비즈니스 모델의 기본 개념 정립: 디지털 제품과 비즈니스 모델의 정의, 구성 요소, 성공적인 기획의 핵심 원칙을 이해. 2. 산업별 디지털 제품과 비즈니스 모델 사례 연구: 다양한 산업에서 성공적으로 자리 잡은 디지털 제품과 비즈니스 모델을 분석하여 실질적인 인사이트와 새로운 아이디어를 도출. 3. 시장 분석과 고객 반응 평가: 다양한 분석 기법을 활용해 제품의 시장성과 고객 반응을 체계적으로 평가. 4. 디지털 제품 기획 및 비즈니스 모델 설계 실습: 실행 가능한 디지털 제품 기획안과 비즈니스 모델을 구체적으로 설계. 5. 결과물 발표 및 피드백을 통한 개선: 설계된 디지털 제품과 비즈니스 모델을 발표하고, 피드백을 반영하여 실질적 실행 가능성을 높임. |
교과목명 | 국문 | 디지털 정부와 경제 (영어강의) | 영문 | Digital Government & Digital Economy |
교과 구분 | 전공선택(석박사공통) | |||
개설 시기 | 짝수년 가을학기 | |||
강의 목표 | In the recent era of digital transformation, the government and market economy are facing a different form of digitalization. The goal of this course is to acquire a systematic understanding and knowledge of this digital shift. Through this, we aim to cultivate problem-solving abilities in the practical field of digital government and the digital economy. 최근 디지털 대전환의 시대, 정부와 시장경제는 이전과 다른 디지털화를 직면하고 있다. 본 과목은 이에 대한 체계적 이해(systemic understanding)과 지식(knowledge)을 습득하고자 하는 것이 본 과목의 목표이다. 이를 통해 디지털 정부(digital government) 및 디지털 경제(digital economy)의 실제 현장에서 문제 해결 능력을 함양하고자 한다. | |||
주요 강의 내용 | By the completion of this course, students will have achieved the following objectives: 1) Cultivated a problem-solving mindset in the context of digital government and the economy (DGE); 2) Grasped a diverse array of concepts, models, theories, and techniques relevant to DGE; 3) Acquired practical knowledge in policy analysis, encompassing both general principles and those specific to DGE; and 4) Applied these models, theories, and practices to address real-world challenges in the realm of digital government and the economy. 본 강의를 통해 학생들 다음과 같은 세부 목표에 대한 역량을 습득할 수 있다: 1) 디지털 정부와 경제에 대한 문제 해결 마인드를 함양한다. 2) 디지털 정부와 경제에 관한 다양한 개념, 모델, 이론 및 기법을 이해할 수 있다. 3) 디지털 정부와 경제 정책 분석에 대한 이해만이 아니라 이와 관련한 실용적인 지식을 습득한다. 4) 이러한 모델, 이론 및 실천을 통해 실제 디지털 정부와 경제 문제 해결 능력을 함양할 수 있다. |
교과목명 | 국문 | 연구방법론 및 논문작성 (영어강의) | 영문 | Research Methods and Thesis Writing |
교과 구분 | 전공선택(석박사공통) | |||
개설 시기 | 짝수년 가을학기 | |||
강의 목표 | The objective of this course is to help master's and doctoral students specializing in Business IT learn essential quantitative and qualitative research methods necessary for writing research articles and theses/dissertations. It aims to enhance their ability to write academic papers at a standard suitable for submission and publication. Business IT를 전공하는 석사 및 박사학생들이 학술논문 및 학위논문을 작성함에 있어 필수로 이해해야 할 양적/질적 연구방법론에 대한 학습을 하고 실제 투고 및 출판이 가능한 수준의 논문을 작성하는 역량을 키우는 것이 본 강의의 목표이다. | |||
주요 강의 내용 | This course will be conducted in seminar format, focusing on practical learning through Project Based Learning (PBL) that encompasses both quantitative and qualitative research methodologies, along with academic paper writing methods. Key topics covered in the lectures and activities include statistical research methods, qualitative data analysis methodologies, literature review, analysis of previous studies, and advanced skills in practical research paper writing. 본 강좌는 양적/질적 연구방법론 학습 부분과 논문작성방법론과 관련된 실습 및 Project Based Learning 방식의 세미나 강의형태로 진행된다. 주요 강의 내용은 통계적 연구방법론 및 질적데이터분석 방법론에 대한 것과 문헌연구 및 선행연구 분석, 연구 논문 실무 글쓰기에 대한 심화 학습 내용을 포함한다. |
교과목명 | 국문 | IT보안 및 고객 프라이버시 보호 | 영문 | IT Security and Privacy |
교과 구분 | 전공선택(석박사공통) | |||
개설 시기 | 짝수년 가을학기 | |||
강의 목표 | IT 보안의 역사는 무척 깁니다. 과거 로마시대부터 1,2차 세계대전, 현재까지 빠르게 발전하고 있습니다. 여러 루트로 디도스공격, 공인인증서 등의 기법과 블록체인, 양자암호 등의 새로운 개념을 들어보셨을 것입니다. 본 수업은 이러한 여러 개념의 중심이 되는 이론을 학습합니다. 컴퓨터가 아닌 손으로 직접 구현도 해봅니다. IT 보안 관리자로서 손색 없도록 기초를 다질 수 있습니다. | |||
주요 강의 내용 | IT Securities Overview · Classical Encryption Techniques · Block Ciphers and the Data Encryption Standard · Public Key Cryptography and RSA · Hash Function, Message Authentication · Digital Signature, and Key Management · Digital Certificate and PKI, Random Number Generation · SSL/TLS, Block Chain · Dream of More Secure World |
교과목명 | 국문 | IT모더나이제이션 (영어강의) | 영문 | IT Modernization |
교과 구분 | 전공선택(석박사공통) | |||
개설 시기 | 홀수년 봄학기 | |||
강의 목표 | This course aims to understand modern IT architectures and technologies corporations are willing to adopt to enhance their business competitiveness. The course includes learning Cloud, AI, and Architecture principles and their business implications. Through this subject, you will learn: · How legacy environment transformed into modern circumstance through a process called migration or transformation. · Practice Modern IT system build and design · Enlarging insight into the IT modernization covering technology aspect and the business view as well. | |||
주요 강의 내용 | 1. Academical review of the IT Architecture 2. Understand the traditional IT architecture and IT modernization 3. Understand Cloud native architecture (Container, Kubernetes, PaaS services) and build Cloud service (Azure practice for resource build) 4. Understand Modern IT architecture principles and develop architectural solutions to respond to business requirements 5. AI Architecture and its introduction to the modern IT service 6. Business challenges vs. Technology challenges for the IT modernization |
교과목명 | 국문 | 생산운영관리 (영어강의) | 영문 | Operations Management |
교과 구분 | 전공선택(석박사공통) | |||
개설 시기 | 짝수년 봄학기 | |||
강의 목표 | Operations Management(OM) and Supply Chain Management (SCM) have become a core of global business innovation in an organization, as we have depended on them for our business. The concept of OM have changed the way we operate our business at all levels, from general management to supply chain. Thus, it is important for us to design and implement proper strategies for operations process and supply chain in organizations. This course is designed to provide a comprehensive understanding of the principles, tools, and techniques of operations management in business organizations. The course will cover topics such as operations strategy, process design, capacity planning, inventory management, quality management, supply chain management, and project management. The primary objective of this course is to help students understand the nature of OM and related strategies for organizations. In addition, this course seeks to help students have their own research questions related to it, and design the research to examine the questions. 생산운영관리(OM)와 공급망관리(SCM)는 모든 비즈니스 조직의 글로벌 비즈니스 혁신의 핵심이다. OM의 개념은 일반 관리에서 공급망에 이르기까지 모든 수준에서 비즈니스를 운영하는 방식을 변화시켰다. 따라서 조직의 운영 프로세스 및 공급망에 대한 적절한 전략을 설계하고 구현하는 것이 중요하며, 따라서 본 수업은 비즈니스 조직의 운영 관리 원칙, 도구 및 기술에 대한 포괄적인 이해를 제공하도록 설계되었다. 이 과정에서는 생산운영전략, 프로세스 설계, 용량 계획, 재고 관리, 품질 관리, 공급망관리 등 OM의 대부분의 주제를 다룬다. 이 강좌의 주요 목표는 학생들이 OM의 특성과 조직 전략을 이해하도록 돕는 것이며, 학생들이 이와 관련되어 자신만의 연구를 설계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 |||
주요 강의 내용 | • To understand the role of operations management in achieving organizational objectives • To analyze and evaluate the design and management of business processes • To develop an understanding of the major tools and techniques used in operations management • To analyze and evaluate supply chain management strategies • To develop a supply chain management strategy and evaluate the effectiveness of existing strategies • 조직 목표 달성에 있어서 생산운영관리(OM)의 역할 이해 • 비즈니스 프로세스의 설계 및 관리를 분석하고 평가 • OM에 사용되는 주요 도구와 기술에 대한 이해 • 공급망관리 전략의 분석과 평가 • 공급망관리 전략의 개발과 기존 전략의 연계를 통해 그 영향도 평가 • OM과 SCM 관련된 글로벌 기업들의 사례분석 |
교과목명 | 국문 | 디지털마케팅 세미나 (영어강의) | 영문 | Digital Marketing Seminar |
교과 구분 | 전공선택(석박사공통) | |||
개설 시기 | 짝수년 봄학기 | |||
강의 목표 | The primary goal of this course is to equip students with a comprehensive understanding of the dynamic digital marketing landscape, distinguishing it from traditional marketing approaches. Students will delve into the mindset and behaviors of consumers in the digital age, gaining insights into the contemporary marketplace. Throughout the semester, students will explore fundamental principles that underpin digital marketing and examine emerging trends. Further, by analyzing current case studies in digital marketing, students will cultivate the ability to apply theories into practices. 이 수업의 주요 목표는 전통적인 마케팅과 구별되는 디지털 마케팅 환경에 대한 종합적인 이해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교과목을 통해 디지털 시대의 소비자의 심리 및 행동에 대한 이론을 학습하고, 디지털 마케팅의 기초 이론, 산업 동향을 살펴봄으로써 오늘날의 급변하는 디지털 마케팅 환경에 대한 이해를 강화한다. 또한, 디지털 마케팅의 현재 사례를 분석함으로써 이론을 실무에 적용하는 능력을 함양한다. | |||
주요 강의 내용 | By the end of the semester, students will be able to: 1) Understand consumer behavior and psychology in the digital age. 2) Grasp the fundamental changes in the marketing process driven by the evolution of digital technologies and digital media. 3) Understand the significance of data and automation in digital marketing, and how it contributes to brand-consumer relationships. 본 강의는 다음과 같은 주요 내용을 포함한다: 1) 디지털 시대의 소비자 행동 및 심리에 대한 이해 2) 마케팅 프로세스의 변화를 야기하는 다양한 디지털 기술 및 디지털 미디어 환경에 대한 이해 3) 디지털 마케팅에서의 빅데이터 및 자동화의 중요성을 이해하고, 이것이 브랜드-소비자 관계에 어떻게 기여하는지에 대한 이해 |
교과목명 | 국문 | B2B 영업의 이해와 실무 | 영문 | Understanding and Practicing B2B Sales |
교과 구분 | 전공선택(석박사공통) | |||
개설 시기 | 매년 봄학기 | |||
강의 목표 | B2B 영업을 이해하고 실무에 활용 방법을 학습한다. B2B 영업의 특징, 원칙, 전략, 방법, 프로세스와 같은 기본 원리를 이해하고, 다양한 실무환경에서의 적용 방법을 습득한다. B2B 영업과 관련한 다양한 이론적 접근을 학습하며 실제 사례를 통해 B2B 영업의 실무 적용의 방법을 이해한다. | |||
주요 강의 내용 | . B2B 영업의 개념과 철학 . B2B 영업의 특징과 원칙 . B2B 영업의 종류와 전략 . B2B 영업 프로세스와 영업 활동 . Account Planning과 Deal Review . IBM, Amazon의 B2B 영업 구조와 사례 . 사례를 통해 본 구매자 관점의 B2B 영업 |
교과목명 | 국문 | 고급트레이딩전략 | 영문 | Advanced Trading Strategy |
교과 구분 | 전공선택(석박사공통) | |||
개설 시기 | 매년 가을학기 | |||
강의 목표 | 파생상품 투자전략과 고급 시스템트레이딩 전략을 연구한다. 딥러닝 모형을 이용한 첨단 투자기법을 연구하고, 증권업계의 연구실 선배 초청 특강을 통해 업계의 최신 동향을 파악한다. | |||
주요 강의 내용 | 파생상품 투자전략 연구, 고급 시스템트레이딩전략 연구, 다시장/다상품을 활용한 시스템 포트폴리오 연구, 딥러닝 모형을 이용한 증권시장 예측 연구, 차익거래/롱숏전략/헤지펀드 연구 |
교과목명 | 국문 | 증권트레이딩시스템 개발 | 영문 | Development of Securities Trading Systems |
교과 구분 | 전공선택(석박사공통) | |||
개설 시기 | 매년 가을학기 | |||
강의 목표 | 본 과목은 증권 트레이딩 시스템을 설계하고, 이를 프로그래밍적으로 구현하여 자동화하는 능력을 배양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학생들은 파이썬을 이용한 시스템 개발 방법을 학습하고, 이를 실제 시장 데이터에 적용하여 트레이딩 시스템을 직접 구축하며 실시간 트레이딩 환경을 시뮬레이션한다. | |||
주요 강의 내용 | 파이썬을 활용한 트레이딩 시스템의 기본 구조 설계, 트레이딩 관련 주요 라이브러리 사용법, 금융 데이터의 실시간 수집 및 처리, 자동 매매 알고리즘 구현 및 실시간 시뮬레이션, 리스크 관리 및 최적화 기법, API를 이용한 브로커 연동 및 실제 시장 데이터 연계 |
교과목명 | 국문 | 옵션실전트레이딩 | 영문 | Practical Options Trading |
교과 구분 | 전공선택(석박사공통) | |||
개설 시기 | 매년 봄학기 | |||
강의 목표 | 옵션의 실전트레이딩 전략을 배운다. 그릭스 지표분석과 변동성을 이용한 다양한 옵션 및 합성 포지션의 진입전략, 민감도와 스트레스 테스팅, 수정전략 등을 다룬다. 동시에 주식을 기본으로 하는 자산에서 헤징하는 방법을 학습한다. | |||
주요 강의 내용 | 그릭스의 이해를 통한 옵션의 특성연구, 다양한 옵션의 합성/스프레드 실전 투자전략. 헤징방법과 옵션투자 시뮬레이션 |
교과목명 | 국문 | 증권데이터 분석 및 설계 | 영문 | Securities Data Analysis and Design |
교과 구분 | 전공선택(석박사공통) | |||
개설 시기 | 매년 봄학기 | |||
강의 목표 | 본 과목은 증권 데이터를 효율적으로 분석하고, 투자 전략을 설계하는 능력을 배양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학생들은 파이썬과 다양한 라이브러리를 활용하여 대규모 금융 데이터를 분석하는 방법을 학습하고, 이를 기반으로 데이터 기반 투자 전략을 개발한다. 나아가, 전략의 백테스팅 과정을 통해 전략의 성과를 평가하는 방법을 익힌다. | |||
주요 강의 내용 | 금융 데이터 분석을 위한 파이썬 프로그래밍 기초 학습, 주요 금융 라이브러리(Numpy, Pandas, Matplotlib, etc.) 사용법, 다양한 금융 데이터 수집 및 전처리, 기술적 분석 및 퀀트 투자 전략 설계, 백테스팅을 통한 전략 성과 평가, 투자 전략의 데이터 시각화 및 해석 방법 |
교과목명 | 국문 | 증권투자실전연구 | 영문 | Practical Studies on Securities Investment |
교과 구분 | 전공선택(석박사공통) | |||
개설 시기 | 매년 가을학기 | |||
강의 목표 | 주식과 ETF를 이용한 실전 투자 전략을 학습하고, 자산 배분을 통한 위험도를 줄이는 방법을 배운다. 실제 투자 환경에서 경제 지표와 기술적 분석을 적용한 ETF 투자 전략을 다루고, 리스크 관리와 수익 극대화를 위한 다양한 파생상품 활용법을 학습한다. 더불어, 장기적인 안정적인 수익을 위한 리밸런싱 전략을 실습한다. | |||
주요 강의 내용 | 경제지표와 기술적 분석에 의한 ETF 투자 전략, 위험관리를 위한 파생상품 활용, 안정적인 수익을 위한 리밸런싱 전략 |
교과목명 | 국문 | 자산배분전략 | 영문 | Asset Allocation Strategies |
교과 구분 | 전공선택(석박사공통) | |||
개설 시기 | 매년 가을학기 | |||
강의 목표 | 다양한 투자상품의 위험과 수익을 분석하고 관련 투자 이론을 학습한다. 포트폴리오 이론을 활용한 자산배분전략을 연구한다. | |||
주요 강의 내용 | 다양한 투자상품의 위험과 수익 분석, 투자전략 연구, 현대포트폴리오 이론, 자산배분전략 연구 |
교과목명 | 국문 | 증권시장분석 | 영문 | Stock Market Analysis |
교과 구분 | 전공선택(석박사공통) | |||
개설 시기 | 매년 봄학기 | |||
강의 목표 | 이 강의는 한국과 해외 증권 시장을 심층 분석하며, 주요 거시 경제 지표, 금리, 채권, ETF에 대한 이해를 높이는 것을 목표로 한다. 학생들은 경제 지표와 정책이 증권 시장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고, ETF 및 채권 관련 데이터를 심도 있게 탐구하며, 기술적 지표를 활용한 시장 예측 방법을 학습하게 된다. | |||
주요 강의 내용 | 주식 시장에 미치는 경제 지표 및 정책의 영향 분석, ETF 및 채권 데이터 분석, 기술적 지표 활용 |
교과목명 | 국문 | 트레이딩개론 | 영문 | Introduction to Trading |
교과 구분 | 전공선택(석박사공통) | |||
개설 시기 | 매년 봄학기 | |||
강의 목표 | 트레이딩시스템의 개념과 전체구조를 이해하고, 포트폴리오 이론을 통한 위험과 수익의 구조를 파악한다. 트레이딩을 위한 기술적 지표를 학습하고, 전략 매매를 위한 시스템 랭귀지를 연구하여 투자전략 개발 능력을 키운다. | |||
주요 강의 내용 | 트레이딩시스템의 이해와 각종 툴 실습, 기술적분석의 방법과 실증분석, 전략 매매를 위한 시스템 랭귀지 학습 |
교과목명 | 국문 | 창의적 문제 해결의 원리와 실제 | 영문 | Principles and Practices of Creative Problem Solving |
교과 구분 | 전공선택(석박사공통) | |||
개설 시기 | 홀수년 가을학기 | |||
강의 목표 | 분석적 문제해결(analytical problem solving)과 창의적 문제해결(creative problem solving)은 비즈니스 및 고객 문제해결을 위한 두 가지 주요 어프로치들이다. 분석적 문제해결 어프로치는 체계적 문제 이해 및 정교한 인사이트 도출에 강점을 가지는 반면, 창의적 문제해결 어프로치는 아이디어와 컨셉 등 인사이트에 기반한 실행 솔루션(Tangible solution) 창출에 강점을 가진다. 이 과정은 두 가지 어프로치들 중 솔루션 중심 창의적 문제해결에 중점을 둔다. 수강자들은 이 논의를 통하여 비즈니스 및 고객 문제의 창의적 해결에 필요한 핵심 개념 및 용어의 정의(definition), 이론적 관점과 원리(POVs & principle), 실행 단계 및 단계 별 산출물과 도구(steps, results & methods/tools) 등을 사례 연습과 함께 체계적으로 익힌다. |
|||
주요 강의 내용 | ⦁ 분석적 문제해결 어프로치와 창의적 문제해결 어프로치의 관계 ⦁ 솔루션 중심 창의적 문제해결의 역사 및 비즈니스 Practice 사례 ⦁ 솔루션 중심 창의적 문제해결의 일반 모형 ⦁ 창의적 문제해결 어프로치의 주요 유형들: Breakthrough innovation approach, insight-driven solution development approach, creative ideation approach ⦁ 창의적 솔루션 사례에 대한 인사이트 중심 Reversing exercise |
교과목명 | 국문 | 클라우드 데이터&인공지능 입문 | 영문 | Cloud Data & AI Fundamentals |
교과 구분 | 전공선택(석박사공통) | |||
개설 시기 | 매년 가을학기 | |||
강의 목표 | 클라우드(Azure) 환경에서 운영계 시스템과 분석계 시스템에서의 데이터 활용과 인공지능의 다양한 활용 방법을 이해한다. | |||
주요 강의 내용 | ⦁ 클라우드(Azure) 환경에서 정형데이터, 비정형데이터 및 데이터 분석 워크로드에 대해 이해를 하고, Azure Portal 환경에서 실습을 실시하여 기본적인 기술을 습득한다. ⦁ 클라우드(Azure) 환경에서 인공지능과 기계학습의 기본개념 및 컴퓨터 비젼, 자연어 처리 워크로드 등에 대해 이해를 하고, Azure Portal 환경에서 실습을 실시하여 기본적인 기술을 습득한다. ⦁ Microsoft Azure를 활용하여 실습을 병행한다. |
교과목명 | 국문 | 스마트SCM세미나 (영어강의) | 영문 | Smart SCM Seminar |
교과 구분 | 전공선택(석박사공통) | |||
개설 시기 | 홀수년 가을학기 | |||
강의 목표 | This course is designed to provide you with a comprehensive understanding of how Information Technology (IT) and Supply Chain Management (SCM) can be integrated to create intelligent and efficient supply chain systems. Throughout this seminar, we will explore the key principles, emerging trends, and best practices in Smart SCM. We will delve into the potential benefits and challenges of adopting IT solutions in supply chain operations. 이 강의 목표는 지능적이고 효율적인 공급망 시스템을 만들기 위해 정보 기술(IT)과 공급망관리(SCM)를 통합하는 방법에 대한 포괄적인 이해를 제공하도록 설계되었다. 이 세미나를 통해 학생들은 스마트 SCM의 핵심 이론과 원리, 새로운 트렌드 및 다양한 산업에서의 사례를 연구할 것이며, 이를 통해 공급망 운영에서 IT 솔루션을 채택할 때의 잠재적인 이점과 문제점 등을 전략적인 관점에서 알아볼 것이다. |
|||
주요 강의 내용 | By the end of the seminar, students will be able to: 1) understand the concepts and principles of Supply Chain Management (SCM) and its role in modern business environments; 2) analyze the challenges and opportunities in SCM and identify the potential benefits of integrating Information Technology (IT) solutions; 3) evaluate the impact of IT-enabled solutions on various aspects of the supply chain, including demand forecasting, inventory management, transportation, and customer service; 4) develop strategies for implementing smart SCM practices in organizations, considering factors such as cost-effectiveness, efficiency, and sustainability; 5) understand the ethical and legal implications of implementing IT solutions in SCM and develop strategies to address potential challenges; 6) analyze real-world case studies to identify best practices and lessons learned from successful smart SCM implementations. 본 강의를 통해 학생들은 다음과 같은 세부 목표에 대한 역량을 습득할 수 있다. 1) 공급망 관리(SCM)의 개념과 원칙 및 현대 비즈니스 환경에서의 역할을 이해한다. 2) SCM의 도전과 기회를 분석하고 통합 정보 기술(IT) 솔루션의 잠재적 이점을 식별한다. 3) 수요 예측, 재고 관리, 운송 및 고객 서비스를 포함하여 공급망의 다양한 측면에 대한 IT 지원 솔루션의 영향을 살펴본다. 4) 비용 효율성, 효율성 및 지속 가능성과 같은 요소를 고려하여 조직에서 스마트 SCM 관행을 구현하기 위한 전략을 습득한다. 5) SCM에서 IT 솔루션 구현의 윤리적 및 법적 영향을 이해하고 잠재적인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전략을 연구한다. 6) 실제 사례 연구를 분석하여 성공적인 스마트 SCM 구현에서 얻은 모범 사례와 교훈을 습득한다. |
교과목명 | 국문 | 정보통신정책 (영어강의) | 영문 | IT Policy |
교과 구분 | 전공선택(석박사공통) | |||
개설 시기 | 홀수년 가을학기 | |||
강의 목표 | The goal of this course is to foster understanding of the field of Information Technology (IT) policy studies in the era of digital transformation. The course involves advanced research at the post-graduate level on IT policy and practical applications of digital transformation (DX). Active participation from students is crucial in order to achieve this goal. Additionally, the course provides a comprehensive overview of the concepts, models, theories, and practices related to IT and DX from a public policy perspective. 본 강의의 목표는 디지털전환 시대의 정보기술(IT) 정책 연구 분야에 대한 이해를 제고하는 것이며, IT 정책 및 디지털전환(DX)의 실제 응용에 대한 대학원 수준의 지식을 습득하는데 있다. 포함한다. 이를 달성하기 위해 학생들의 적극적인 참여가 필수적이며, 공공정책 관점에서 IT 및 DX와 관련된 개념, 모델, 이론 및 실천 등의 내용을 포괄적으로 다루게 된다. |
|||
주요 강의 내용 | By the end of this course, each student will be able to: 1) Internalize a problem-solving mindset when it comes to IT policy and DX; 2) comprehend a wide range of concepts, models, theories, and techniques in IT policy; 3) gain practical knowledge in policy analysis, both in general and specifically in IT policy; and 4) apply these models, theories, and practices to real-world IT policy and DX issues. 본 강의를 통해 학생들 다음과 같은 세부 목표에 대한 역량을 습득할 수 있다: 1) IT 정책과 DX에 대한 문제 해결 마인드를 함양한다. 2) IT 정책에 관한 다양한 개념, 모델, 이론 및 기법을 이해할 수 있다. 3) 일반 정책 분석에 대한 이해만이 아니라 IT 정책에 대한 실용적인 지식을 습득한다. 4) 이러한 모델, 이론 및 실천을 통해 실제 IT 정책 및 DX 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 |
교과목명 | 국문 | 고객인사이트시각화 | 영문 | Customer Insights Visualization |
교과 구분 | 전공선택(석박사공통) | |||
개설 시기 | 홀수년 봄학기 | |||
강의 목표 | 고객 데이터의 실질적 임팩트 제고를 위해 목적, 목표, 결과 및 활용 중심의 전략적 데이터 역량을 습득한다. 기법 및 툴 관련 지식 중심의 기술적(Technical) 분석 및 시각화 역량을 보완하는 관점에서 ‘분석을 위한 분석, 시각화를 위한 시각화’의 위험 방지를 지향한다. 이를 위해 최종 결과물 지향적 데이터 분석 기획, 의미와 메시지 중심의 시각화, 독자 중심의 논리적 스토리텔링을 위한 개념, 원리, 지식 및 사례를 익힌다. | |||
주요 강의 내용 | ⦁ 데이터 분석 및 시각화의 두 가지 관점 : 기술적 관점 및 전략적 관점 ⦁ ‘데이터 분석 – 시각화 – 보고’의 통합적 어프로치와 단계들 ⦁ 분석 기획(Planning analysis) : 분석의 목적, 목표, 결과 및 분석 프레임워크 ⦁ 메시지 시각화(Visualizing messages) : 시각화의 어프로치, 데이터 성격에 따른 시각화 유형 및 메시지 전달력 제고를 위한 상세 시각화 스킬 ⦁ 스토리텔링(Strategic storytelling) : 핵심 메시지, 레이아웃, 인사이트와 스토리라인, 스토리보드, 보고서 |
교과목명 | 국문 | 고객정보처리 및 행동결정이론 | 영문 | Customer Information Processing and Behavior Decision Theory |
교과 구분 | 전공선택(석박사공통) | |||
개설 시기 | 홀수년 봄학기 | |||
강의 목표 | 경제학/심리학/마케팅 분야의 고객정보처리이론과 고객행동결정이론을 중심으로 고객경험 디자인에 반영할 수 있는 지식 및 역량을 배양 | |||
주요 강의 내용 | ⦁ IT 기기 및 서비스 사용 경험에 적용 가능한 사회과학 분야 이론(MIS 이론, 마케팅 이론, 심리학 이론)을 습득 ⦁ IT 환경에서 고객과 사용자가 의사결정시 직면하는 문제의 도출 및 흥미로운 현상 발견 ⦁ 실제 현상에서 재미있는 경험 / 감정을 포착하여 이론기반의 현상 해석 (경험 기반 연구 문제 도출 프로세스) ⦁ 최종적으로, 흥미있는 연구 주제에 대하여 이론 기반 연구 가설 도출 및 논문 작성 |
교과목명 | 국문 | 분석적 문제해결의 원리와 실제 | 영문 | Principles and Practices of Analytical Problem Solving |
교과 구분 | 전공선택(석박사공통) | |||
개설 시기 | 짝수년 봄학기 | |||
강의 목표 | 문제해결 역량에 필수적인 논리적 사고(Logical thinking), 창의적 아이디어(Creative idea), 인사이트 도출(Synthesis), 효과적 제안 및 보고 문서 작성(Storytelling) 역량 제고 | |||
주요 강의 내용 | 기획, 분석 및 인사이트 창출을 필요로 하는 학술 및 산업에서 필수적으로 요구되는 문제 해결의 개념, 원리 및 스킬을 이론적 지식 학습 및 구체적 실행 사례 탐구를 통하여 습득 |
교과목명 | 국문 | 고객경험의 원리와 사례 | 영문 | Principles and Cases of Customer Experience in Connected Marketing |
교과 구분 | 전공선택(석박사공통) | |||
개설 시기 | 짝수년 가을학기 | |||
강의 목표 | 고객 경험 분야의 학술적 이해 및 지식의 폭과 깊이를 풍부화하고, 현업의 문제 해결에 대한 적용 역량 제고 | |||
주요 강의 내용 | ⦁ 최근 고객 경험 대두의 산업적, 기술적, 마케팅적 배경과 맥락 ⦁ 고객 경험에 대한 산업 및 마케팅 분야에서의 정의(Definition) 및 함의 ⦁ 산업 및 마케팅 분야의 고객 경험 실행 영역 ⦁ 고객 경험 분야 리서치 어프로치 및 방법론의 신규 트렌드 및 사례 |
교과목명 | 국문 | 고객경험 | 영문 | Customer Experience |
교과 구분 | 전공선택(석박사공통) | |||
개설 시기 | 짝수년 가을학기 | |||
강의 목표 | 고객 경험에 대한 정확한 이해와 이를 통한 관점의 전환, 경험 기반의 사고방식을 갖도록 하여, 고객경험 중심의 최적 전략 수립, 이를 위한 방법론 및 사례를 학습 | |||
주요 강의 내용 | ⦁ 고객 경험의 중요성, 고객과 경험 그리고 고객경험의 정의 ⦁ 고객 경험의 개념을 나타내는 프레임워크 ⦁ 고객 경험의 경제적 가치 및 사례 ⦁ 고객 경험의 구성요소: 여정, 생태계, 터치포인트 등 ⦁ 성숙된 고객 경험 기반 기업이 갖추어야 할 요소들 |
교과목명 | 국문 | 디지털 마케팅 | 영문 | Digital Marketing |
교과 구분 | 전공선택(석박사공통) | |||
개설 시기 | 짝수년 가을학기 | |||
강의 목표 | 디지털 마케팅의 개념적 프레임워크와 다양한 사례를 중심으로 진행하여 디지털 마케팅에 대한 전략적 기초를 세우고, 이를 원활하게 계획하고 실행할 수 있는 디지털 마인드셋의 함양 | |||
주요 강의 내용 | ⦁ 디지털 패러다임 ⦁ 디지털 소비자의 특징과, 디지털 소비자가 갖는 고객 경험 및 고객 여정 ⦁ 디지털 마케팅 채널의 특징과, 각각의 채널을 활용한 마케팅 전략 ⦁ 디지털 마케팅에서의 기회와 장애물 |
교과목명 | 국문 | 연구윤리와 석사논문연구 | 영문 | Research Ethics and Master’s Thesis Research |
교과 구분 | 전공필수(석사) | |||
개설 시기 | 매년 봄/가을학기 | |||
강의 목표 | 본 과목은 연구를 수행할 때 고려해야 할 연구윤리와 함께 이를 바탕으로 석사 학위논문 작성의 전 과정을 지도한다. 연구자로서 반드시 숙지해야 할 연구윤리 및 연구부정행위와 관련된 다양한 이슈들을 소개하고, 이어 학위논문 연구를 위한 자료수집부터 연구의 전체적인 구도 설정, 그리고 실제 논문 작성에 이르기까지 담당교수의 지도 하에 석사 학위논문의 전 과정이 본 과목을 통해 진행된다. | |||
주요 강의 내용 | ⦁ 연구윤리 개요 및 연구부정행위의 유형(위·변조, 표절, 부당한 저자표시, 부당한 중복게재, 부실학회 참석 등)과 예방 ⦁ 석사 학위논문 연구 수행을 위한 전 과정 지도 ⦁ 학위논문 작성을 위한 논리적 글쓰기 |
교과목명 | 국문 | 데이터시각화 | 영문 | Data Visualization |
교과 구분 | 전공선택(석박사공통) | |||
개설 시기 | 짝수년 봄학기 | |||
강의 목표 | 학생들이 시각화 도구를 이용하여 데이터를 탐색하면서 시사점을 찾아내어 문제 해결에 필요한 정보를 제공할 수 있는 능력을 함양한다. | |||
주요 강의 내용 | 본 과목은 데이터에 대한 시각적 분석(Visual Analytics) 방법에 대해 배운다. 이를 위해 학생들은 주요 시각화 분석도구 중 하나인 Spotfire를 기본적으로 습득한다. 또한 의미 전달이 더 잘 되도록 시각적으로 표현하고 스타일링하는 방법, 시사점을 파악하고 전달할 수 있는 시각화 차트를 선택하고 만드는 방법, 현장에서 다른 사용자들이 활용할 수 있는 대시보드의 유형을 이해하고 이를 개발할 수 있는 방법을 배운다. |
교과목명 | 국문 | R프로그래밍 | 영문 | R Programming |
교과 구분 | 전공선택(석박사공통) | |||
개설 시기 | 매년 가을학기 | |||
강의 목표 | 본 수업을 통해 수강생들은 데이터분석 프로그래밍 언어인 R을 이해할 수 있으며, 기초적인 데이터분석을 수행할 수 있다. | |||
주요 강의 내용 | 데이터분석 프로그래밍 언어인 R에 대한 기반 지식을 습득하고 기초적인 데이터 분석 기법을 이해한다. 이를 위해 R을 이용한 데이터의 관리, 패키지의 활용, 함수의 작성, 데이터의 시각화, 통계 및 데이터 분석 모델의 활용 등 다양한 R 프로그래밍 기법을 예제와 함께 학습한다. |
교과목명 | 국문 | 고객/사용자경험프로젝트 | 영문 | Customer/User Experience Project |
교과 구분 | 전공선택(석박사공통) | |||
개설 시기 | 홀수년 가을학기 | |||
강의 목표 | 고객/사용자 경험 이론 및 방법론 기반으로 실제 성과물을 창출 | |||
주요 강의 내용 | CX분야에서 습득한 지식과 경험을 바탕으로, 다음의 세 가지 Module 중 하나를 택해서 특정 주제에 관한 최종 성과물을 창출 ⦁ 고객/사용자 경험 디자인(Customer/User Experience Design Module): 디자인 사고 기반의 고객/사용 자 경험 개발 방법론을 적용하여 신규 제품/서비스/비즈니스 모델을 창출 ⦁ 고객/사용자 행동 이론(Customer/User Behavior Module): IT 환경에서 흥미 있는 주제에 대해서 고객 사용자 행동을 설명하고 이를 논문으로 창출 ⦁ 고객/사용자 애널리틱스(Customer/User Analytics Module): 고객/사용자 데이터를 기반으로 의사결정에 도움이 되는 평가/판단/예측 시스템을 개발 |
교과목명 | 국문 | 고객경험애널리틱스 | 영문 | Customer Experience Analytics |
교과 구분 | 전공선택(석박사공통) | |||
개설 시기 | 홀수년 가을학기 | |||
강의 목표 | 사용자/고객 경험 데이터를 활용한 문제 정의/분석/전략 도출 | |||
주요 강의 내용 | ⦁ 사용자/고객 경험 데이터 분석 방법론 학습 ⦁ 기존의 사용자/고객 경험 데이터 분석 사례 연구 ⦁ 실제 데이터를 활용한 데이터 분석 실습 |
교과목명 | 국문 | CX트랙고급논제 | 영문 | UX/CX Emerging Issue Solving |
교과 구분 | 전공선택(석박사공통) | |||
개설 시기 | 짝수년 가을학기 | |||
강의 목표 | 사용자/고객 경험과 관련한 최신 이슈에 대해서 깊이 있게 학습 | |||
주요 강의 내용 | ⦁ 사용자/고객 경험 관련 최신 이슈 및 트렌드 학습 ⦁ 최신 이슈에 대한 연구 및 이론 학습 ⦁ 최신 이슈에 대한 문제 정의 및 해결 |
교과목명 | 국문 | 고객/사용자조사론 | 영문 | Customer/User Research Methodology |
교과 구분 | 전공선택(석박사공통) | |||
개설 시기 | 홀수년 봄학기 | |||
강의 목표 | 기본적인 고객/사용자 조사의 주요 개념, 기능, 조사 방법론 등에 대한 이해를 통해 실제 실무에서 사용자 조사를 원활하게 수행할 수 있도록 한다. | |||
주요 강의 내용 | 기초통계학과 사회과학의 연구조사 방법론을 기반으로 하여 실제 사용자 조사에 필요한 핵심적인 이론적 지식과, 구체적인 조사 절차 및 조사 방법에 대한 내용을 다룬다. 또한 프로젝트를 통해 사용자 조사에서 배운 내용들을 실제 적용하여 실습할 수 있는 기회를 갖는다. |
교과목명 | 국문 | 인공지능세미나 | 영문 | Artificial Intelligence Seminar |
교과 구분 | 전공선택(석박사공통) | |||
개설 시기 | 짝수년 가을학기 | |||
강의 목표 | 다양한 기계학습 기법들의 기술적 특징을 이해하고, 이들을 적절하게 경영분야의 문제해결에 적용하는 AI 분야의 기술적 연구 주제를 발굴, 발전시킬 수 있다. AI를 하나의 새로운 IT 기반의 서비스로 인식하고, 이것이 어떻게 기획, 운영되어야 비즈니스에 보다 유용하게 활용될 수 있을지와 관련된 AI 분야의 행동과학적 연구 주제를 발굴, 발전시킬 수 있다. | |||
주요 강의 내용 | 금융(부도예측, 신용등급예측, 주가예측), 마케팅(고객구매예측, 고객이탈예측, 추천시스템), 공공(가짜뉴스 탐지, 범죄예측), 감성컴퓨팅 등 AI가 적용될 수 있는 다양한 응용 분야의 최신 연구 동향을 함께 논의하고, 본인만의 AI 분야 학술연구논문 주제를 발굴하여 (소)논문으로 발전 |
교과목명 | 국문 | 프로젝트관리론 | 영문 | Project Management |
교과 구분 | 전공선택(석박사공통) | |||
개설 시기 | 홀수년 가을학기 | |||
강의 목표 | IT 프로젝트를 성공적으로 수행하기 위해 프로젝트 컨텍스트에 대한 이해를 높이고 다양한 프로젝트 관리 스킬과 기법 등의 학습을 목표로 한다. | |||
주요 강의 내용 | PMBOK에 기초한 10개의 지식영역과 프로젝트 관리 프로세스에 대해 학습한다. 그리고 각 영역별로 수행해야 할 활동, 테크닉과 도구에 대한 이해를 높이고 관련 분야의 이론을 학습한다. IT 프로젝트의 여러 현상들을 종합적으로 이해하기 위해 앞에서 배운 여러 지식들을 체계적으로 통합하는 방법에 대해 토론한다. |
교과목명 | 국문 | 데이터애널리틱스 | 영문 | Data Analytics |
교과 구분 | 전공선택(석박사공통) | |||
개설 시기 | 홀수년 가을학기 | |||
강의 목표 | 데이터애널리틱스 기법 및 응용 방법을 이해한다. | |||
주요 강의 내용 | 머신러닝, 인공신경망 및 딥러닝, 텍스트마이닝, 추천시스템, 장바구니분석, 네트워크분석 등 다양한 데이터애널리틱스 기법 및 원리를 학습한다. R을 이용하여 실제 코드를 구현하는 실습을 병행한다. |
교과목명 | 국문 | CRM과 고객전략 | 영문 | CRM and Customer Strategy |
교과 구분 | 전공선택(석박사공통) | |||
개설 시기 | 매년 가을학기 | |||
강의 목표 | 기업의 마케팅 활동과 그 일환으로 전개되는 CRM에 대해 이해하고, 이들을 비즈니스 관점에서 응용할 수 있는 능력을 배양한다. | |||
주요 강의 내용 | 고객관계관리(CRM) 및 고객전략과 관련된 기본 개념들과 이론들을 소개하고, 고객가치의 측정 원리와 기법에 대해 다룬다. 또한 분석, 운영 및 협업 CRM을 중심으로 조직의 CRM 시스템 구현과 관련한 이론과 사례들을 소개하며, CRM 관점에서 전개되는 다양한 마케팅/고객서비스 전략에 대해 학습한다. |
교과목명 | 국문 | 파이썬입문 | 영문 | Introduction to Python |
교과 구분 | 전공선택(석박사공통) | |||
개설 시기 | 매년 가을학기 | |||
강의 목표 | 데이터분석을 비롯한 다양한 분야에 활용되는 프로그래밍 언어인 파이썬(Python)의 기본 기능을 익히고 데이터의 간단한 시각화 및 데이터 분석 기법을 이해한다. | |||
주요 강의 내용 | 예제를 통해, 함수 작성을 포함하여 파이썬을 이용한 기초적인 프로그래밍과 데이터 처리, 주요 패키지를 설치하고 활용하는 방법 및 주요 머신러닝 알고리즘의 실행 등 파이썬 프로그래밍 기법을 Jupyter Notebook 등의 IDE에서 실습을 통해 학습한다. |
교과목명 | 국문 | IT경영전략 | 영문 | IT Management Strategy |
교과 구분 | 전공선택(석박사공통) | |||
개설 시기 | 매년 가을학기 | |||
강의 목표 | 경영의 핵심이론을 기반으로, 비즈니스 성공의 주요요소(major driver)로서 정보기술(IT)의 전략적 역할을 이해한다. | |||
주요 강의 내용 | 경영의 핵심구성요소를 모델 기반으로 구조적으로 이해한다. 비즈니스모델을 프로세스로 세분화하여 분석하고, 경쟁우위 관점에서 어떻게 전략(strategy)이 IT와 연동(align)되는지, 나아가 디지털 기술이 어떻게 비즈니스 프로세스를 변형(transform)시키는 지 이론으로 이해하고, 사례연구한다. |
교과목명 | 국문 | 비즈니스IT세미나 | 영문 | Business IT Seminar |
교과 구분 | 전공선택(석박사공통) | |||
개설 시기 | 매년 가을학기 | |||
강의 목표 | 비즈니스 IT 분야의 다양한 신기술 및 관련 연구, 방법론 등에 대한 최신 동향을 이해한다. | |||
주요 강의 내용 | 비즈니스 IT 분야의 학계 및 산업계 전문가를 초청하여 각종 신기술, 최신 연구, 혹은 연구 방법론과 관련한 특강을 제공하며, 동시에 유관 서적 혹은 공개 동영상 강의를 청취하도록 하여 수강생들이 비즈니스 IT에 대한 최신 동향에 대해 폭 넓게 이해할 수 있도록 교육한다. |
교과목명 | 국문 | 텍스트데이터분석 | 영문 | Text Data Analysis |
교과 구분 | 전공선택(석박사공통) | |||
개설 시기 | 매년 가을학기 | |||
강의 목표 | 텍스트데이터분석(舊 텍스트마이닝)의 기본 개념과 실제 구현 코드를 이해한다. | |||
주요 강의 내용 | Vector Space Model, TF-IDF, Word2Vec, Topic Modeling 등 텍스트 데이터 분석에 대한 기본 개념을 학습하고, 이를 Python 코드로 구현하는 실습을 진행한다. |
교과목명 | 국문 | 통계데이터분석 | 영문 | Statistical Data Analysis |
교과 구분 | 전공선택(석박사공통) | |||
개설 시기 | 매년 가을학기 | |||
강의 목표 | 통계데이터분석 기법을 이해하고 응용력을 배양한다. | |||
주요 강의 내용 | 통계데이터분석 기법을 활용한 데이터분석 및 가설검정 절차를 학습한다. SPSS를 이용한 실습을 병행한다. |
교과목명 | 국문 | 고객/사용자경험디자인 | 영문 | Customer/User Experience Design |
교과 구분 | 전공선택(석박사공통) | |||
개설 시기 | 홀수년 봄학기 | |||
강의 목표 | 사용자/고객 경험 디자인을 위한 근본 철학, 방법론 학습 및 체화 | |||
주요 강의 내용 | ⦁ 디자인 사고 철학 및 방법론 학습 ⦁ 고객/사용자 기반의 품질 평가 방법론 습득 및 실습 ⦁ Needs 기반 고객/사용자 경험 디자인 방법론 습득 및 실습 ⦁ Seeds 기반 고객/사용자 경험 디자인 방법론 습득 및 실습 |
교과목명 | 국문 | UX/CX세미나 | 영문 | UX/CX Seminar |
교과 구분 | 전공선택(석박사공통) | |||
개설 시기 | 짝수년 봄학기 | |||
강의 목표 | 사용자/고객 경험 관련 연구 주제 정의 및 해결 | |||
주요 강의 내용 | ⦁ 사용자/고객 경험 관현 연구 주제 정의 ⦁ 연구 문제 도출 및 문제 해결을 위한 방법론 탐색 ⦁ 연구 프로세스 정의 및 문제 해결, 결과 도출 |
교과목명 | 국문 | HCI와 UX혁신 | 영문 | HCI and UX Innovation |
교과 구분 | 전공선택(석박사공통) | |||
개설 시기 | 홀수년 가을학기 | |||
강의 목표 | 최근 IT기술의 발달로 여러 다양한 서비스와 제품들이 출시되고 있음. 이 중에서 살아남고 사랑받는 것들은 딱 하나의 공통점이 있는데, 바로 사용자 경험 기반으로 설계되고 운영된다는 점임. “HCI와 UX혁신”은 HCI(Human-Computer Interaction)와 사용자경험(User Experience: UX)의 기초와 응용을 다루는 과목이라 할 수 있음. UX는 모든 기업에서 중요하게 생각하고 있는 만큼 나날이 발전하고 있고, 특히, 경영정보 분야가 담당하고 있는 IT서비스 기획, 개발, 운영, 관리에서는 이제는 필수불가결한 분야로 여겨지고 있음. 또한, 데이터 분석과 융합되어 Data UX 분야도 떠오르고 있음. 본 강의를 통해 HCI와 UX에 대해 심도 깊은 지식과 정보, 방법론 등을 습득 및 활용할 수 있음. |
|||
주요 강의 내용 | ⦁ UX의 역사, 철학, 혁명적인 사례들을 이해 ⦁ UX의 기본 원리와 핵심 개념들을 학습함 ⦁ 실제 기획하고 싶은 제품/서비스를 정하여, 사용자 기반의 제품/서비스 기획하는 방법론을 배움 ⦁ 컨셉 개발부터 프로토타이핑, 사용자 평가까지 전과정을 Learning by Doing ⦁ 최근 UX 진화 방향인 Data UX, Ontact 등도 접하게 됨 |
교과목명 | 국문 | 클라우드컴퓨팅개론 | 영문 | Introduction to Cloud Computing |
교과 구분 | 전공선택(석박사공통) | |||
개설 시기 | 매년 봄학기 | |||
강의 목표 | ⦁ 클라우드 컴퓨팅 서비스에 대한 일반적인 개념, 서비스의 배경 및 특징, 서비스 모델, 서비스 구현 형태 및 관련 기술 등에 대하여 이해 ⦁ Microsoft Azure의 클라우드 아키텍처 구성요소, 주요 서비스 및 솔루션, 관리도구 네트워크 및 보안 등에 대해 이해하고 실습을 통해 활용방법 습득 ⦁ 클라우드 서비스 도입을 위한 계획, 비용분석, SLA 계약, 서비스 지원형태 등에 대해 이해 |
|||
주요 강의 내용 | 클라우드 컴퓨팅의 개념, 기술, 주요 서비스 및 관리도구 등에 관련한 기본적인 기술과 지식을 익히고 주요 퍼블릭 클라우드 서비스 중 하나인 Microsoft Azure 실습을 통해 클라우드 서비스를 실제적으로 체득한다. |
교과목명 | 국문 | 데이터베이스입문 | 영문 | Introduction to Database Systems |
교과 구분 | 전공선택(석박사공통) | |||
개설 시기 | 홀수년 봄학기 | |||
강의 목표 | 전통적 관계형 데이터베이스의 기본 개념을 이해하고, SQL을 활용하여 데이터를 처리할 수 있는 능력을 배양한다. | |||
주요 강의 내용 | 관계형 DB의 주요 개념을 학습하고, Oracle 실습을 통해 SQL(DML, DDL, DCL, TCL) 활용 능력을 배양한다. |
교과목명 | 국문 | 엑셀을활용한데이터분석 | 영문 | Data Analysis with Excel |
교과 구분 | 전공선택(석박사공통) | |||
개설 시기 | 매년 봄학기 | |||
강의 목표 | 데이터 분석에 필요한 엑셀의 기본적인 사용법과 주요 기능들을 익혀 데이터 탐색적 분석을 수행할 수 있다. | |||
주요 강의 내용 | 실제 데이터를 대상으로, Excel의 다양한 함수와 도구들을 이용해서 데이터를 클린징하고 원하는 형태로 변환하는 방법을 실습해 본다. 엑셀표, 필터, 피봇, 챠트 기능 외에 자동화를 위한 VBA 그리고 엑셀에 내장된 분석 도구 및 최적화 도구의 사용법을 익힌다. |
교과목명 | 국문 | 웹스크레이핑과 데이터분석 | 영문 | Web Scraping and Data Analysis |
교과 구분 | 전공선택(석박사공통) | |||
개설 시기 | 매년 봄학기 | |||
강의 목표 | 웹 데이터의 수집, 분석, 시각화 과정을 이해한다. | |||
주요 강의 내용 | 웹 데이터의 수집, 전처리, 분석, 시각화에 이르는 일련의 과정을 다양한 사례 및 예제를 통해 학습한다. R을 이용하여 실제 코드를 구현하는 실습을 병행한다. |
교과목명 | 국문 | 데이터과학개론 | 영문 | Introduction to Data Science |
교과 구분 | 전공선택(석박사공통) | |||
개설 시기 | 매년 봄학기 | |||
강의 목표 | 데이터 과학을 배우기 위해 필요한 기본 개념, 용어, 알고리즘 등을 이해한다. | |||
주요 강의 내용 | 데이터 마이닝과 텍스트 마이닝의 주요 기법, 데이터 분석에 활용되는 주요 함수 및 개념, 신경망의 기본 구성 요소, 모델 성능 평가를 위한 기본 개념 등을 이론 위주로 학습한다. |
교과목명 | 국문 | 경영과 정보기술 | 영문 | Management and Information Technology |
교과 구분 | 전공선택(석박사공통) | |||
개설 시기 | 매년 봄학기 | |||
강의 목표 | 경영의 핵심이론을 이해하고, 경영이 정보시스템으로 이어지는 원리를 이해한다. | |||
주요 강의 내용 | 마케팅, 전략/기획, 재무/회계, 인사/조직 등 경영의 구성요소를 모델 기반으로 구조적으로 이해한다. 비즈니스모델을 프로세스로 세분화하여 분석하고, 경쟁우위 관점에서 도출된 문제해결을 위해 MIS분야의 기술이 어떻게 활용되는지 이론으로 이해하고, 사례연구한다. |
교과목명 | 국문 | 비즈니스애널리틱스 | 영문 | Business Analytics |
교과 구분 | 전공선택(석박사공통) | |||
개설 시기 | 매년 봄학기 | |||
강의 목표 | 경영의사결정을 지원하는 각종 분석 기법들의 원리를 이해하고, 실제 경영문제 해결에 적용할 수 있는 능력을 배양한다. | |||
주요 강의 내용 | 예측/분류, 최적화, 가치평가, 군집화, 추천시스템 등과 관련한 비즈니스 애널리틱스 관련 이론과 기법을 학습하고, 이들을 실제 활용할 수 있는 능력을 관련 S/W에 대한 실습을 통해 숙지한다. 구체적으로 본 강의에서는 가장 기본이 되는 Excel과 SPSS를 비롯하여 Neuroshell, Libsvm, Evolver, Neural Network Console 등의 S/W들이 실습에 활용된다. |
교과목명 | 국문 | 소셜네트워크분석 | 영문 | Social Network Analysis |
교과 구분 | 전공선택(석박사공통) | |||
개설 시기 | 짝수년 봄학기 | |||
강의 목표 | 소셜네트워크분석 기법 및 응용 방법을 이해한다. | |||
주요 강의 내용 | 소셜네트워크분석 기법 및 원리를 학습하고, 다양한 학문분야 및 실무환경에서의 응용 방법을 다룬다. 네트워크분석을 위한 소프트웨어(UCINET, Pajek, R 등)를 이용하여 실습을 병행한다. |
※ 개설 시기를 포함한 상기 교과과정에 대한 정보는 사정에 따라 소폭 변경될 수 있음